이 글은 "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(박상길 지음)"을 읽고 주관적으로 요약한 글입니다.
- 이진 검색 (Binary Search)
- 정렬된 배열에서 타겟을 찾는 검색 알고리즘
- 시간 복잡도 O(log n)
- 이진 탐색 트리(Binary Search Tree)와의 차이
- 이진 탐색 트리
- 정렬된 구조를 저장하고 탐색하는 '자료구조' - 이진 검색
- 정렬된 배열에서 값을 찾아내는 '알고리즘'
- 이진 탐색 트리
- 이진 검색의 구현
- mid를 구할 때 보통 (left+right) // 2를 사용
- 그러나 두 수의 합으로 인해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음
-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함
mid = left + (right - left) // 2
'책읽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][이진검색] 회전 정렬된 배열 검색 (0) | 2021.08.13 |
---|---|
[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][이진검색] 이진 검색 (0) | 2021.08.12 |
[Java의 정석][Chapter-6] 객체지향 프로그래밍1 (2/2) (0) | 2021.08.09 |
[Java의 정석][Chapter-6] 객체지향 프로그래밍1 (1/2) (0) | 2021.08.09 |
[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][정렬] 원점에 K번째로 가까운 점 (0) | 2021.08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