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글은 "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(조성호 지음)"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.
※ 요약
- 입출력 버스의 구조
- 메인버스
- CPU / 메모리 - 그래픽 버스
- AGP, Accelerated Graphics Port - 고속 입출력 버스
- 저속 입출력 버스
- 메인버스
- 직접 메모리 접근 (DMA)
- 입출력 제어기가 CPU 도움 없이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
- 메모리 <-> DMA 제어기 <-> 입출력 제어기
- 하드웨어 인터럽트
- 주변장치의 입출력 요구 / 하드웨어 이상 현상을 CPU에 알려주는 신호
- 인터럽트 종류
- 외부 인터럽트
- 입출력 / 하드웨어 - 내부 인터럽트
- 프로세스의 오류 (Exception Interrupt)
- 코어덤프(Core dump) 발생 : 프로세스가 종료되기 직전 메모리 / 레지스터 상태를 저장 - 시그널
- 사용자 인터럽트
- 외부 인터럽트
- 인터럽트 벡터 / 핸들러
- 인터럽트 벡터 : 여러 인터럽트 중 어떤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 파악하기위한 자료구조
- 인터럽트 핸들러 :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처리할 함수
- 버퍼링
- 버퍼
- 속도가 다른 두 장치의 속도 차이를 완화하는 역할
- 느린 장치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를 버퍼에 모아 한꺼번에 이동
- 입출력장치의 느린 속도 보완 - 커널
- 커널이 버퍼에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 -> 입출력 제어기가 버퍼에서 입출력장치로 데이터 전송
- 입출력 작업 완료 전에 다른 작업 가능 - 이중 버퍼
- 데이터를 담는 버퍼 / 데이터를 가져가는 버퍼를 나누어 사용
- 버퍼
-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저장장치
- 구성에 따른 종류
- DAS (Direct Attached Storage)
- 서버와 직접 연결된 저장장치 - NAS (Network Attached Storage)
- 저장장치를 LAN이나 WAN에 붙여 사용 - SAN (Storage Area Network)
- 데이터 서버 / 백업 서버 / RAID 등 네트워크로 묶어 데이터에 접근하는 서버
- DAS (Direct Attached Storage)
- 구성에 따른 종류
- RAID
- 자동으로 백업
- 장애가 발생하면 복구하는 시스템
- 동일한 규격의 디스크를 모아 구성
1. 입출력 시스템
1) 입출력장치와 채널
- 쩜
- 쩜
2) 입출력 버스의 구조
- 쩜
- 쩜
3) 직접 메모리 접근
- 쩜
- 쩜
4) 인터럽트
- 쩜
- 쩜
5) 버퍼링
- 쩜
- 쩜
2. 디스크 장치
- 생략
3. 디스크 스케줄링
- 생략
4. RAID
1) RAID의 개요
- 쩜
- 쩜
2) RAID 종류
- 쩜
- 쩜
5. [심화학습] 하드웨어의 규격과 발전
1) 포트의 규격
- 쩜
- 쩜
2) CD의 규격
- 쩜
- 쩜
3) 그래픽카드의 발전
- 쩜
- 쩜
'책읽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쉽게 배우는 운영체제](요약)[Part-4][Ch-12] 네트워크와 분산 시스템 (0) | 2021.08.02 |
---|---|
[쉽게 배우는 운영체제](요약)[Part-4][Ch-11] 파일 시스템 (0) | 2021.08.02 |
[Java의 정석][Chapter-2] 변수 (0) | 2021.08.01 |
[Java의 정석][Chapter-1] 자바를 시작하기 전에 (0) | 2021.08.01 |
[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][최단경로] K 경유지 내 가장 저렴한 항공권 (0) | 2021.07.30 |